전체 글42 컴퓨터 구조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2가지 정보 1. 데이터2. 명령어 예시)1 과 10를 더해라"메세지"을 출력하라 여기서 1과 10은 데이터, 더해라는 명령어다.마찬가지로 메세지는 데이터이며 출력하라는 명령어이다. 컴퓨터의 핵심부품1. CPU컴퓨터의 두뇌역할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고 해석하고 실행하는 장치. CPU의 핵심구성요소ALU : 산술논리연산장치(계산을 위한 회로들 집합체)제어장치 : 제어 신호(컴퓨터 부품들을 관리하고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레지스터 : CPU내 작은 저장장치 워드(Word) : CPU가 한번에 처리하는 정보 단위Half Word : 워드의 절반 크기Full Word : 워드 크기Double Word : 워드의 두배 2. 메모리(주기억장치, RAM.. 2024. 11. 14. 재귀함수 void Quest(int Level){ if(Level >= 2) { return; } Quest(Level + 1); Quest(Level + 1);}int main(){ Quest(0); return 0;}위와 같은 코드를 생각해보자.Quest 함수는 재귀함수로 본인 내에서 Level을 1 증가한 Quest 함수를 재호출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게 만약 실행된다면 아래와 같은 순서로 실행이 될 것이다. 코드는 한 줄씩 실행된다는 것을 이해하면 알기 쉽다. 1. 우선 Quest(0)이 실행된다.2. Quest(0)에서 Quest(0 + 1);이 호출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두개의 Quest(Level + 1) 중 위에 있는 함수가 호.. 2024. 11. 13. 자료구조의 기초2 int 100개의 배열이 있다고 했을때 우리가 원하는 값을 찾기 위해서는 최악의 경우 100개를 모두 확인해야만한다.이를 빅오표기법으로 O(N)으로 표시한다. 쉽게 생각하면 최악의 경우를 () 괄호안에 넣어서 표시해주는 표기법이다.트리 구조의 경우는 한 번의 탐색마다 탐색할 데이터의 수가 절반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다만 배열에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가 몇번째 인덱스에 있는지 안다면 바로 찾아낼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O(1)로 표기되며, 이를 활용한 것이 Hash Table이라는 자료구조다. * Hash Table과 Direct Addressing Table둘 다 비슷하지만 Hash Table은 Hash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찾아낸다.예를 들어 "Apple"을 Key 값으로 넘.. 2024. 11. 12. 자료구조의 기초 Struct와 Class의 차이점 둘 다 새롭게 개발자가 정의할 수 있는 자료형이란 것은 같으나 기본 접근 제한자가 서로 다르다.구조체는 Public, Class는 Private.struct sPeople{ int Age; char Name[100];}class cPeople{ int Age; char Name[100];}int main(){ sPeople Won; cPeople Seong; Won.Age = 10; // 가능 Seong.Age = 10; // 불가능} 위와 같이 각각의 객체를 생성하고 Age 변수에 값을 할당하려고 하면 Class는 기본 Private라서 .을 찍어도 Age 변수가 나오지 않는다. 단, Public으로 접근 제한자를 바꾸.. 2024. 11. 12. 객체 지향 개발의 5대 원리 SOLID 좋은 객체 지향 설계를 위한 5가지 원리 1.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SRP, 단일 책임 원칙하나의 Class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한다. 쉽게 생각하면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기능을 가져야 한다.여러개의 기능을 갖는 경우 내부 함수끼리의 강한 결합을 필요로 하고 코드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새로운 요구사항과 같은 프로그램 변경에 의해 변경 시 연쇄적 변경을 유발하므로 유지보수의 비효율이 동반된다.따라서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을 가지도록 책임을 분리시켜야 한다. 2. Open-Closed Principle : OCP, 개방 폐쇄의 원칙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있으나, 변경에는 닫혀있어야 한다.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 기능을 수정, 추가할 수 있도.. 2024. 11. 12. Fream & Packet WAN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달하면서 MAC 주소만으로는 전달이 불가능해 IP주소를 사용하게 되었고,이로 인해 Frame 안에 Packet을 추가하여 전송하게 된다. PacketIP(Internet Protocol) Packet Source Address : src IP 주소Destination Address : dst IP 주소Data : 보낼 정보 * 라우팅라우터에 전달되기 전까지는 Frame을 이용하여 정보가 전달되고, 라우터에 전달된 이후부터는 내부 Packet을 이용하여 다음 라우터까지 전달된다.라우터가 다시 HUB, Switch로 전달하면서 Packet을 Frame으로 감싸고 이 Frame을 이용하여 최종 기기까지 정보가 도달하게 된다. LAN에서 WAN으로 진입하는 과정 우선 라우터의 MA.. 2024. 11. 12. 이전 1 2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