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twork3

Network 기초 2 IP주소의 할당앞서 우리는 MAC주소 대신 IP 주소를 이용하여 WAN에서 정보를 전달할 주소를 찾는다고 했었다.그렇다면 IP주소는 누가 어떻게 할당을 해주는가? IP 주소는 기본적으로 자동할당(DHCP), 수동할당(Static) 두가지중 하나로 할당된다.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 IP주소가 자동으로 할당되며, DHCP Server를 가지고 있는 Device를 연결하면 자동으로 IP주소를 할당받는다. DHCP Server를 가지고 있는 기기는 대표적으로 공유기가 있다. Static : 사람이 직접 할당한 IP 주소Router의 IP 주소는 Static. Router의 IP 주소가 정해져 있어야 한다. 그래야 이 IP 주소를 이용하여 접근이 가능하기 때.. 2024. 11. 17.
Network 기초 LAN(Local Area Network)집안에서 컴퓨터끼리 소통을 어떻게 하는가? → 서로 선을 연결하여 그 선을 통해 전기신호(0과 1)를 주고 받는다.요즘은 선 없이 Electromagnetic Wace(전자기파)를 통해서 전기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컴퓨터가 여러대 있을때는 어떻게 소통을 하는가?→ HUB를 이용한다. HUB : 여러 컴퓨터들을 케이블을 통해 연결해주는 기기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다른 기기를 사용한다. 1번에서 2번으로 데이터를 전송할때 HUB를 통해 연결된 모든 컴퓨터에 데이터가 전송 되게 된다.또한, 1번에서 2번으로 데이터를 보낼때 2번에서 1번으로 데이터를 보내게 되면 정보 충돌(Data Collision)이 일어난다. 이런 정보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데이터를 전송.. 2024. 11. 9.
C언어로 서버 만들기 1. 통신이란?옛날에 불을 이용하여 통신.말 그대로 서로 의사소통하는 것. 어떤 신호를 보내면 이 신호를 다른 곳에서 알아들으면 통신 되는 것이다.양측 서로 신호를 보낼 수 있다면 양방향 통신, 한쪽에서만 보낼 수 있다면 단방향 통신이다. 통신에서는 신호를 보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신호의 의미를 알고 있어야 제대로 전달되기 때문에의미도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런 신호에 대한 의미를 보통 약속하는데 이 약속이 바로 프로토콜이다.또한, 통신을 하기 위해선 물리적인 연결이 필요하며 이게 바로 랜선이다.Wifi 같은 무선도 결국 랜선을 이용해서 통신이 된다. 기본 통신을 하기 위해선 반드시 물리적인 연결이 있어야 한다. 프로토콜(통신 규약)의 종류TCP :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잘 받았는지 확인까지.. 2024. 1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