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설정에서 Editor Start Map 설정 → 언리얼 엔진 시작 시 로드되는 Map을 설정할 수 있다.
Game Default Map 설정 → 최종 패키징 후 게임 플레이시 시작 시 최초로 로드되는 Map을 설정할 수 있다.
Editor 개인설정에서 Load Level at start up 설정 → 해당 Level 시작시 Load 되는 Map 설정
New Level
Basic Level은 단일 Scene.
Open Level은 말 그대로 Open world처럼 열린 공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사용하면 된다.
World Setting → 원하는 Game Mode로 변환
GameMode, State 등 Unreal에서는 우리가 원하는 항목을 Override하여 사용하도록 만들어두었다.
Place Actor 패널에서 Player Start로 Player 시작 위치 설정할 수 있다.
Default Pawn으로 설정된 Pawn이 해당 위치에서 생성된다.
Standalone Game : 개별적인 게임으로 실행(실제 게임창처럼 나온다.)
Simulate : Player Charactor를 움직이지 않고 작동
Simulate 중 Object 위치 변경 또는 Simulate 후 위치를 저장하고 싶을 때 Keep Simulate로 저장하면 그대로 저장된다.
상단 옵션에서 Level Blue Print Open을 하여 노드를 만들어 보자.
위 노드는 특정 키보드를 입력하여 콘솔 명령이 실행 될 수 있도록 Blue Print 로 구현한 것이다.
Execute Console Commend Node :Console Commend를 실행시키는 Node
Editor 설정에서 게임 실행 해상도 조절 가능하다.
Platforms 항목에서 패키징 가능.
패키징 : 최종적으로 실행파일을 뽑아내는 과정
shipping : 최종 패키징 / 콘솔명령어를 넣을 수 없음
Development : 개발(수정 가능)패키징 / 콘솔명령어를 넣을 수 있음.
원하는 조건에 맞춰서 Fillter를 걸어 볼 수 있다.
Optimization Viewmodes에선 빛의 복잡도 등도 볼 수 있다.
(Light 복잡도에 따라 최적화가 달라지니 Light 복잡도를 보고 확인해서 최적하 하기.)
Engine 퀄리티를 낮춰서 작업 FPS을 높일 수 있다.
Streaming 에서 다양한 통계 확인도 가능하다.
Transform을 World 또는 Object 기준(Local)으로 바꿀 수 있다.
Surface Snapping : 다른 Object 표면에 붙이는 기능
Editor 개인 설정에서 Snap 단위도 변경 가능하다.
Group 후 Unlock을 통해 해당 그룹 내부 Object들을 수정할 수 있다.
Transform에서 각 좌표 기준 반전 시킬 수 있다.
Hardware ray 트레이싱 ON / 루멘도 On → 시작시 레이트레이싱 켰으면 굳이 안켜도 됨.
Path Tracing → 비게임분야에서 빛의 굴절 등 보다 퀄리티 좋은 작업물을 얻을 수 있음, 실시간으로 사용할 수 없기때문에 게임에서 사용 불가. 오프라인 렌더러(실시간 X)
Far View Plane :내가 설정한 거리만큼만 에디터에 표시해준다.
0을 넣으면 무한대로 취급하여 에디터 내 모든 Object들을 보여준다.
콘솔명령어 : *Help에서 콘솔 명령어 확인 가능
HighResShot 1920x1080 : 해당 해상도로 사진 촬영
(View Port Options에서 촬영 가능)
stat FPS : 프레임 확인
Exit : 종료
* 노드의 색상에 따른 특이사항
순수함수(녹색, 개발자가 수정불가)
비순수함수(파란색, 개발자가 수정가능)
Toolbar가 없어지거나, 그룹 선택 등이 안될때
1. Toolbar 가 사라졌을때

2. 그룹 기능이 안되거나, 반투명 물체가 선택되지 않거나, 원하는 물체만 선택하고 싶을때


- Allow Translucent selection : 반투명 물체 선택 옵션
- Allow Group Selection : 그룹 선택 옵션
- Strict Box Selection : 원하는 물체만 선택하고 싶을 때
- Show Transform Widget : Widget 끄고 키기
- Enable Vertex Snapping : Vertex 끄고 키기
- Hide Viewport UI : Viewport UI 끄고 키기
* 단축키
Ctrl + n : New Level 생성
Ctrl + Space bar : 콘텐츠 브라우저 Open, Close
Ctrl + Art + S : 현재 레벨을 다른이름으로 저장
Object + F : 해당 Object 확대
Ctrl + 마우스 휠 클릭 : 선 방향에 따라 상단, 하단, 왼쪽, 오른쪽으로 화면 전환
Ctrl + Alt + 드래그 : Object 단체 선택
Object Transform Widget + Alt + 마우스 휠 클릭 : Widget 이동 (Widget offset 설정해야 변경된 Widget 위치 저장된다.)
* 기타
1. 메모장에 전달받은 Project 파일 드래그&드롭 시 UE 버전 확인 가능.
2.지연렌더링 : 노말, 베이스 컬러 등 모두 합하여 보여주는 방식. 버퍼 시각화를 통해 확인 가능.
'Engine > Unr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real C++로 Black Jack Game 만들기(+열거형) (4) | 2025.07.09 |
---|---|
언리얼의 기초 2 (0) | 2025.01.06 |
언리얼 엔진의 기초 (0) | 2024.11.27 |
언리얼 엔진에 fbx 파일 임포트 하기 (0) | 2024.11.22 |
UMG(Unreal Motion Graph) (1) | 2024.11.19 |